728x90

# 01. ....


# 개발에서 품질까지 여러 CTS를 남기면서 이걸 어떻게 관리를 해야 하는지 모르는 당신에게..
# 품질 테스트 완료하고 운영까지 넘기는데 CTS가 많아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당신에게 
# CTS를 너무 많이 따서 CTS Merge를 10번 해야 하는 당신에게 

 

# 02. TOC( Transport of Copies )를 왜 쓰는가? 대체 무엇인가?


# 개발 -> 품질에 테스트하면서 여러 CTS를 많이 따는 경우가 생기기 마련이다. 
예를 들어) 

[FI] ZFIXXXX_코드 변경_2025-04-02 #01
[FI] ZFIXXXX_코드 변경_2025-04-02 #02
[FI] ZFIXXXX_코드 변경_2025-04-02 #03
[FI] ZFIXXXX_코드 변경_2025-04-02 #04
[FI] ZFIXXXX_코드 변경_2025-04-02 #05
[FI] ZFIXXXX_코드 변경_2025-04-02 #06
[FI] ZFIXXXX_코드 변경_2025-04-02 #07
[FI] ZFIXXXX_코드 변경_2025-04-02 #08

하나씩 CTS을 따면서 이미 따놓은 CTS를 포함시키면서 CTS를 포함하고 포함하고 포함하고 하는 방식을 대부분 많이 쓰게 된다. 
그래서 마지막에 따놓은 CTS를 개발->품질->운영까지 넘기는 방식일 것이다.
구축/운영을 하면서 하나의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는 사실 큰 문제는 없지만, 여러 프로그램들을 수정하면서 여러 CTS를 생성할 때 많이 복잡해지게 된다. 바쁠 때 어떤 프로그램 고치고 다른 프로그램 고치다가 마지막에 CTS를 봤을 때 이미 따놓은 CTS를 포함시켰나..? 하는 생각이 들었을 때는 정말 정신 나가게 된다..(제가 그랬습니다..) 
 

이럴 때 쓰는 게 TOC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굳이 여러 CTS를 따지 않아도 하나의 CTS를 생성해서 개발/수정하고 최종으로 넘길 때 그 CTS만 릴리즈해서 넘기면 된다. 그래서 마지막에 봤을 때는 CTS는 프로그램당 하나씩만 있게 된다. 물론 TOC 방식도 CTS 포함시켜서 가는 거긴 하지만

[FI] ZFIXXXX_코드 변경_2025-04-02 #01

 

정리하자면 

✅ 테스트용 이관품질 시스템에서 미리 결과 확인
✅ 원본 TR 보호원본은 릴리즈 안 한 상태로 놔둠
✅ 버전 사전 검증운영 반영 전에 에러/오류 미리 확인
✅ 릴리즈 통제원본 CTS은 마지막에 진짜 확정 이관할 때만 릴리즈

 

TOC 진행

 

주의할 점은 
TOC는 '테스트용'이기 때문에 운영 시스템(PRD)에 반영하면 안 된다.(공식 문서)

 
 

이제는 개발에서 품질 넘어가서 CTS를 하나만 따는 방법을 알아보자.

 
 

# 03. TOC( Transport of Copies ) 생성


우선 품질에서 테스트할 CTS을 다음과 같이 설정해 보자. 

# 01. 이관할 프로그램 CTS를 생성해 보자. 

 

# 02. 그리고 프로그램을 변경하자. 

 

# 03. 이제 다시 T-CODE : SE09로 들어가서 다음 [ 생성 버튼 ]을 눌러보자. 

 

# 04. [ 복사 전송 ] TOC를 눌러서 생성하자. ( 대상에 품질 타켓으로 넣어줘야 한다. )

 

# 05. 그럼 하단에 다음과 같이 TOC가 생성된 걸 볼 수 있다. 

 

# 06. 이제 이관 할 CTS를 TOC에 포함을 해야 한다. 

무조건 잘 봐야 하는은 상단에 있는 CTS를 포함시키는 것이 아닌 하단에 있는 Request을 포함시켜야 한다. 

2023.10.11 - [.ABAP/..CTS] - SAP CTS 병합( 릴리즈 )

SAP CTS 병합( 릴리즈 )

릴리즈한 CTS 병합 하는 경우 # 이미 릴리즈를 했는데 CTS를 합칠 경우, 여러 CTS를 병합해서 한 번에 릴리즈 하는 경우 등등.. CTS를 병합려면 새로운 CTS를 생성해서 병합 해줘야한다. CTS 생성과 병

potato98.tistory.com

 
 

# 07. 그럼 다음과 같이 CTS가 들어가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 08. 이제 우리는 TOC로 딴 걸 품질넘기는 작업을 하면 된다. 이런 식으로 넘길 때마다 TOC생성해서 CTS 포함시킨 뒤 릴리즈해서 넘기면 되는 것이다. ( 이 이후는 생략

# 릴리즈를 했을 때 다음과 같이 뜨는데 그냥 [ ] 버튼을 누르고 진행하자. 

 
 

# 마지막


# 앞에서 했던 방식으로 품질에서 테스트할 때 TOC를 사용해서 CTS 관리를 편하게 만들 수 있게 된다. 

# TOC의 이점은 여러 이점이 있지만 운영 반영 전까지 프로그램 하나당 하나의 CTS로 간다는 것이 가장 큰 이점이라고 생각한다. 

 
 

도움이 되셨으면 하단에 있는 광고 한번씩 눌러주세유!!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