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x250
728x90

# ABAP 환경 구축


# ADT 서비스 설정( ABAP Development Tools )을 했다고 가정 하에 시작하겠다.

# Cloud ABAP(RAP)을 하기 위해서는 Cloud 환경에서 해야 한다. 

 

# Public Cloud or Prviate Cloud 환경에서 할 순 있지만

만약 그런 서버가 없을 경우 BTP Cockpit을 통해서 Cloud ABAP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우리는 서버가 없다는 가정하에 ABAP 환경 구축을 할 것이다. 

 

# 사진과 같이 BTP 하고 연결을 하기 위해서 먼저 ABAP Trial 계정부터 활성화해 보자.

 

 

# 01. ABAP Trial 계정 활성화


01. 우선 SAP BTP Cockpit부터 들어가 보자 

https://cockpit.hanatrial.ondemand.com/trial/#/home/trial

02. 그다음 로그인을 한 후에 만약 Subaccout가 없다고 하면 Subaccout을 만들어줘야 한다.

 

03. SubAccout을 만들면 다음과 같이 나오게 된다. 

 

 

# 02. ABAP 환경에 대한 할당량 늘리기 


# ABAP 환경을 구성하기 전에는 서비스에 대한 할당량을 추가해야 한다. 

01. Subaccout에서 Entitlements에 들어간다.

 

02. 오른쪽에 있는 [ Edit ] 버튼을 눌러보자. 

 

 

03. [ Add Service Plans ]  -> [ ABAP environment ]  -> [ sharde(체크) ]  -> [ Add 1 Service Plan ] 클릭해서 서비스를 할당해 주자.

 

04.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면 성공이다. 

# 여기서 봐야 할 것은 Subaccount Assignment 필드에 쓰여있는 1 Units이다. 

# Subaccount에서 ABAP environment을 몇 개를 할당할 건지 할당량 수를 정하는 것이다.

 

# 현재는 Trial 계정이기 때문에 1로 제한이 되어있다.

 

 

# 03. ABAP Environment Service Key. json 생성


01. Global accout 화면으로 다시 이동한 다음 왼쪽에 있는 Boosters 선택 한 뒤에  Prepare an Account for ABAP Trial을 선택해 주면 된다.

 

02. 나오는 화면에서 Start 버튼을 누르게 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된다.

 

03. 다음과 같이 성공 메시지가 뜨면? 서비스 키 생성이 된 것이다.

 

# 04. 서비스 키(Service Key) 확인


01. 다시 Global Acoout에서 SubAccout로 들어가 보자.

 

02. Instance and Subscriptions(인스턴스 와 구독)을 누른 후 Instances을 보면 다음과 같이 설정이 되어있는 걸 볼 수 있다. 

# 여기서 Key를 누르면 서비스 키 JSON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 다음은 SAP BTP와 ADT 하고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2023.03.30 - [.SAP/..BTP] - SAP BTP와 ADT 연결

 

SAP BTP와 ADT 연결

시작하기 전 SAP ADT 구축과 SAP BTP에서 서비스 키와 인스턴스를 생성했다고 가정하에 시작하겠다. 참고로 서비스 키와 인스턴스를 생성 못 했다면 밑에 링크를 참고하자 2023.03.08 - [.SAP/..BTP] - SAP BT

potato98.tistory.com

 

 

끝..!!

 

도움이 되셨으면 하단에 있는 광고 한번씩 눌러주세유!!

728x90

'.BTP > ..Cloud ABAP(R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P CDS Associations 정리  (0) 2023.03.30
SAP BTP와 ADT 연결  (2) 2023.03.30
SAP RAP(ADT) 설명(Description) 변경 방법  (0) 2023.03.22
SAP RAP(ADT) Structure 생성  (0) 2023.03.16
SAP RAP(ADT) Text Symbol(텍스트심볼) 정리  (0) 2023.03.08